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백준

[백준 C언어] 1620.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문제

안녕? 내 이름은 이다솜. 나의 꿈은 포켓몬 마스터야. 일단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해선 포켓몬을 한 마리 잡아야겠지? 근처 숲으로 가야겠어.

(뚜벅 뚜벅)

~ 중략 ~ 

오박사 : 그럼 다솜아 이제 진정한 포켓몬 마스터가 되기 위해 도감을 완성시키도록 하여라. 일단 네가 현재 가지고 있는 포켓몬 도감에서 포켓몬의 이름을 보면 포켓몬의 번호를 말하거나, 포켓몬의 번호를 보면 포켓몬의 이름을 말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여라. 나의 시험을 통과하면, 내가 새로 만든 도감을 주도록 하겠네.

 

입력

첫째 줄에는 도감에 수록되어 있는 포켓몬의 개수 N이랑 내가 맞춰야 하는 문제의 개수 M이 주어져. N과 M은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인데, 자연수가 뭔지는 알지? 모르면 물어봐도 괜찮아. 나는 언제든지 질문에 답해줄 준비가 되어있어.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포켓몬의 번호가 1번인 포켓몬부터 N번에 해당하는 포켓몬까지 한 줄에 하나씩 입력으로 들어와. 포켓몬의 이름은 모두 영어로만 이루어져있고, 또, 음...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 문자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어. 아참! 일부 포켓몬은 마지막 문자만 대문자일 수도 있어. 포켓몬 이름의 최대 길이는 20, 최소 길이는 2야. 그 다음 줄부터 총 M개의 줄에 내가 맞춰야하는 문제가 입력으로 들어와. 문제가 알파벳으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를 말해야 하고, 숫자로만 들어오면, 포켓몬 번호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해야해. 입력으로 들어오는 숫자는 반드시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고, 입력으로 들어오는 문자는 반드시 도감에 있는 포켓몬의 이름만 주어져. 그럼 화이팅!!!

출력

첫째 줄부터 차례대로 M개의 줄에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해줬으면 좋겠어!!!. 입력으로 숫자가 들어왔다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포켓몬의 이름을, 문자가 들어왔으면 그 포켓몬의 이름에 해당하는 번호를 출력하면 돼. 그럼 땡큐~

이게 오박사님이 나에게 새로 주시려고 하는 도감이야. 너무 가지고 싶다ㅠㅜ. 꼭 만점을 받아줬으면 좋겠어!! 파이팅!!!

 

나의 풀이

스토리가 매우 긴 문제이다.

스샷이 내가 즐겨 했던 리프그린 주인공 기준으로 나와서 반가웠다 (ㅋㅋ) 

 

숫자가 주어지면 도감 번호에 맞는 포켓몬 이름을,

이름이 주어지면 해당 포켓몬의 번호를 출력하는 문제이다. 

 

평이한 탐색 문제이지만 데이터의 최대 개수가 100,000개이고 문자열 형태로 주어지기 때문에 

순차검색을 해버렸다간 시간초과가 나온다.

 

또한, 입력값이 숫자일 경우 / 알파벳일 경우 2가지가 있으므로 

각 경우를 나눠서 생각해주어야 한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clude <stdlib.h>

typedef struct dex { //도감 구조체
	int idx;
	char name[21];
}dex;

int cmp(const dex* a, const dex* b) { //퀵소트에 들어갈 문자열비교 함수
	char* na = (char*)a->name;
	char* nb = (char*)b->name;
	return strcmp(na, nb);
}

int main(void) {
	int n, m;
	scanf("%d %d", &n, &m);

	dex* pokedex = (dex*)malloc(sizeof(dex) * n);
	dex* pokedex_s = (dex*)malloc(sizeof(dex) * n); //배열 복사본 (이진검색을 위해 퀵소트 예정)

	for (int i = 0; i < n; i++) { //배열에 도감 내용 입력
		pokedex[i].idx = pokedex_s[i].idx = i + 1;
		scanf("%s", pokedex[i].name);
		strcpy(pokedex_s[i].name, pokedex[i].name);
	}

	qsort(pokedex_s, n, sizeof(dex), cmp); //퀵소트

	for (int j = 0; j < m; j++) {
		char q[21]; //문제 입력
		scanf("%s", q);

		if (q[0] >= '0' && q[0] <= '9') { //문제가 숫자이면
			int idx = atoi(q);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바꿔주고
			printf("%s\n", pokedex[idx - 1].name); //포켓몬 인덱스 출력
		}
		else { //문제가 알파벳이면 이진검색
			int mid, left = 0, right = n - 1;
			while (right >= left) {
				mid = (left + right) / 2;
				if (strcmp(pokedex_s[mid].name, q) == 0) break;
				else if (strcmp(pokedex_s[mid].name, q) > 0) right = mid - 1;
				else left = mid + 1;
			}
			printf("%d\n", pokedex_s[mid].idx);
		}
	}

	free(pokedex);
	free(pokedex_s);

	return 0;
}

 

구조체 배열 두 개를 만든 이유가 바로 두 경우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1) 입력값이 번호일 경우 번호순으로 정렬된 원래의 배열에서 인덱스값만 찍어서 가져 오는게 빠르고, 

2) 입력값이 이름일 경우 문자열 비교가 수행되어야 하므로 퀵소트 후 이진검색을 이용하는 것이 빠르다. 

 

만약 두 개를 만들지 않고 하나의 배열을 사용할 경우 : 

번호순으로 정렬했을 때에는 문자열 이진검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악의 경우 문자열을 99,999번 비교하여야 답을 찾을 수 있고,

이름순으로 정렬했을 때에는 번호를 무조건 순차검색하여 찾아내야 하므로

번호순 정렬 배열, 이름순 정렬 배열 두 개를 만드는 것을 채택했다. 

메모리는 더 잡아먹지만 훨씬 빠른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if (q[0] >= '0' && q[0] <= '9') {
	int idx = atoi(q);
	for(int i=0;i<n;i++)
	printf("%s\n", pokedex[idx - 1].name);
}

 

풀이 35번째 줄부터 조건에 따라 검색을 수행한다.

문제가 숫자로 주어졌을 경우는 아스키 코드로 판별해주었다. 

코드값이 '0'과 '9'의 사이일 경우 atoi를 사용해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어주어 

해당 인덱스의 이름을 빠르게 가져올 수 있다. 

 

else {
	int mid, left = 0, right = n - 1;
	while (right >= left) {
		mid = (left + right) / 2;
		if (strcmp(pokedex_s[mid].name, q) == 0) break;
		else if (strcmp(pokedex_s[mid].name, q) > 0) right = mid - 1;
		else left = mid + 1;
	}
	printf("%d\n", pokedex_s[mid].idx);
}

 

문제가 문자로 주어졌을 경우는, 위에서 퀵소트를 이용해 문자열순 정렬해준 배열에 

이진검색을 수행하여, 검색이 완료되었을 경우 해당 인덱스를 출력해주면 끝.

 

(풀어보기 : https://www.acmicpc.net/problem/1620)